본문으로 이동
1theland

월본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소류 시대
초대 제2·3대 제4대 제5대
나호진 구창모 모창민 육성준
제6대
이성하
메이우 시대
제7대 제8·9대 제10대
민주우 하재성 민주우
세이카 시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하은우 한성훈 민주우 라버 마르코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모창민 나의재 이해수 구창모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23대
전영록 하성일 Mirai 윤교익
헤이와 시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타츠바나 요쿠온 전영록 육성준 다카기 그네
제28-31대 제32대
마츠다 하루토라 후미히라 겐페이
레이카 시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후미히라 겐페이 아사모토 강치 이시하라 칸유
월본국 제1·3대 최고재판소장
Mirai
未來 │ 미라이
출생 1990년 12월 18일(1990-12-18) (34세)
월본 도유수도시 선화구
현직 파일:최고재판소 화이트.png 최고재판소장
재임기간 월본 제21대 내각총리대신
2022년 1월 11일 ~ 2월 6일
월본 초대 최고재판소장
2023년 10월 20일 ~ 2024년 6월 11일
월본 제3대 최고재판소장
2024년 12월 22일 ~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13, 14
[ 펼치기 · 접기 ]
본관 와가사 미씨
가족 부모, 여동생, 배우자
학력 파일:도유대학 로고.png 도유대학 법과대학 (법학 / 학사)
파일:도유대학 로고.png 도유대학 대학원 (법학 / 석사)
약력 당대표
파일:월본유신회 로고.png 공동대표
전영록 내각 법무대신
하성일 내각 내각부총리대신
파일:월본 국회의사당.png 제14대 월본 국회 국회의장
제13대 국회의원 (파일:Toryu logo.png 도유수도시 제2구)
제14대 국회의원 (파일:Toryu logo.png 도유수도시 선거구)
종교 무종교
신체 178cm, 90kg, B형
SNS @Mirai

개요

Mirai월본의 정치인, 관료이자 월본국 제21대 내각총리대신이다.

이름

이름은 "未來"의 아카사 가나 문자 발음인 "Mirai (미라이)"를 사용하고 있는데, 영어 표기인 Mirai로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나 한글 표기인 미라이도 병용하고 있다. 공식적인 표기에서는 Mirai로 표기하고, 이외 한글 표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미라이로 표기하는 것을 규칙으로 하기로 하였다.

생애

도유의시민들 시기

2021년 8월 24일 도유의시민들을 창당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도유를 대표할 정당을 뽑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도유 지역 정치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시작했으며, 도유 교통 환승할인 제도 도입·중부 지역 개발·수도권의 정치 권력 탈환 등 수도권 지역주의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 결과 제13대 월본 국회의원 선거에서 도유의시민들은 도유수도시와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선전하였고, Mirai 본인도 도유 2구에서 당선되며 순조롭게 원내 진입에 성공하였다. 원내진입 이후 자유민주당과 연립정권 수립을 합의하여 연립여당이 되었고, 이후 연정 참여에 따른 내각 안배에 따라 법무대신이 되었다.

이후로도 꾸준한 법안 발의 및 행정 실무, 리한그룹 사태 규탄 등의 활동으로 인지도를 높였으며, 실제 10월 말 WBC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월본국민당을 제치고 정당 지지율 2위를 기록하는 등 비약적인 지지율 상승을 이루어냈다.

월본유신회 시기

2021년 11월 6일 시민의힘과 도유의시민들이 합당에 합의하며 월본유신회 소속이 되었다. Mirai 본인은 하성일과 함께 공동 당대표 직위에 올랐다. 정치개혁을 위한 투쟁과 국민의 사회적 안전, 공정과 정의 실현, 지방분권과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하여 정치적 단일전선을 구축하겠다고 선언함과 동시에 월본유신회로의 신설 합당을 선언하였고 이로서 새로운 출발을 하게 되었다.

합당 이후 연정 파트너였던 전영록 내각과 자민당에 대한 비판을 가하기도 하고 기타 야권에 대한 비판을 하기도 하며 "제3세력"으로서 입지를 굳혔다. 이후 제14대 월본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도유수도시 선거구에 출마하였고, 64.89%라는 득표율을 받아 압도적으로 당선되었다. 동시에 월본유신회 역시 초압승을 거두며 정치적으로 입지가 급상승하게 되었다.

이후 국회의장, 총무대신, 법무대신 등을 거쳐 하성일 내각 내각부총리대신 직위까지 올랐다. 이후로도 활발한 의정 활동을 하며 여권의 차기 대권주자로 주목받았으나, 12월 말 일신상의 사유로 내각 내 모든 공직에서 사퇴하며 휴식기를 가졌다.

내각총리대신 시기

휴식기 이후 2022년 1월 11일 다시 정계에 복귀하였고, 하성일 총리가 사퇴하자 "월본을 다시 정상으로 돌려놓겠다"며 총리직에 관심을 표명하였다. 또한 "정치 정상화를 위한 상징국황제, 국내외 이슈에 빠른 대응을 위한 강한 행정부, 알찬 설정을 위한 국민 참여 설정을 위해 총력을 다해 개헌으로 달려가겠다"라고 선언하였으며, 유신회는 합니다! 미라이는 합니다!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그 뒤 열린 국회 표결에서는 월본유신회의 지지를 얻어 여혜진전영록을 꺾고 제21대 월본 총리로 선출되었고, 1월 11일부터 총리직무를 시작하였다. 동시에 국회의장직에도 동시 출마하여 당선되며 겸직을 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한 야당측의 반발이 일기도 하였다. 취임사에서는 "2022년은 게이조[1] 원년이기도 하지만 월본 정상화의 원년이 될 것입니다. 2022년은 건설적인 정치, 새로운 정치의 원년이 될 것입니다. 2022년은 설정 진흥의 원년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2022년의 중점 과제를 공개하였고, "여러분, 이 모든 것은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력과 지지가 있어야만 실천할 수 있습니다. 저, Mirai와 유신회는 여전히 작지만, 여러분의 월본에 무시할 수 없는 거대한 변화를 일으키겠습니다. 여러분을 위한 월본, 여러분이 만든 월본. Mirai는 할 수 있습니다."는 포부를 드러내며 임기를 시작하였다.

2022년 2월 6일 사임하였다.

여담

선거 이력

일시 선거명 소속 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1.8 제13대 총선
(도유 2구)
틀:도유의시민들 188,370 (9.0%) 당선 (5위) 초선
2021.11 제14대 총선
(도유수도시 선거구)
월본유신회 22.05 (64.89%) 당선 (1위) 재선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틀:도유의시민들
2021년 8월 - 2021년 11월
창당
정계 입문
월본유신회
2021년 11월 -
합당

각주

  1. 연호 재설정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