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1theland

월본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소류 시대
초대 제2·3대 제4대 제5대
나호진 구창모 모창민 육성준
제6대
이성하
메이우 시대
제7대 제8·9대 제10대
민주우 하재성 민주우
세이카 시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하은우 한성훈 민주우 라버 마르코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모창민 나의재 이해수 구창모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23대
전영록 하성일 Mirai 윤교익
헤이와 시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타츠바나 요쿠온 전영록 육성준 다카기 그네
제28-31대 제32대
마츠다 하루토라 후미히라 겐페이
레이카 시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후미히라 겐페이 아사모토 강치 이시하라 칸유

구창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월본국 국회의원 (도유수도시 제1구)
지역구 신설 제1-21대
구창모
제21-23대
구현우

[ 펼치기 · 접기 ]
초대
구창모
제2대
모창민
제3대
육성준
대행 정문석
제4대
이성하
대행 정문석
제5대
노현옥
제6대
구창모
제7·8대
전영록
제9대
육성준
제10·11대
후미히라 겐페이
대행 여혜진
제12대
쿠로다 규이치
제13대
이시하라 칸유

월본국 제2·3·18대 내각총리대신
구창모
具昌謨 | Changmo Gu
출생 1939년 7월 6일
도유부 도유시 신관야구 신번연
(현 도유수도시 신관야구 신번연2동)
사망 2024년 8월 21일 (향년 85세)
도유수도시 도화구 수도병원
묘소 도유수도시 용원구 구창공원
재임기간 제2대 내각총리대신
1980년 7월 3일 ~ 1984년 6월 2일
제3대 내각총리대신
1984년 6월 3일~ 1986년 8월 15일
제18대 내각총리대신
2008년 5월 25일 ~ 2009년 12월 31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구동준, 어머니 여민아
형제자매 남동생 구정모
배우자 김주연
자녀 장남 구교혁
학력 현성고등학교 (졸업)
도유대학 (신문방송학·경제학 / 학사)
와가사대학 대학원 (경제학 / 석사)
월본방송통신대학 (서어서문학[1] / 학사)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정치학 / 명예박사)
종교 무종교
신체 178cm
최종 당적 자유민주당
파벌 보수본류
지역구 도유 1구
의원 선수 21
의원 대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경력 도유대학 사회과학대학 학생회장
WBS 와가사 뉴스8 메인앵커/리포터
WBS 남부월본방송 지부장
월본민주화협의회 회장
자유민주당 대표
WPB 리그 커미셔너
월본-중남미우호친선의원단 대표
재월 아르헨티나인 향우회 명예고문
서훈 수호화대수장


개요

구창모월본의 정치인이자 제2-3, 18대 내각총리대신, 제16대 내각총리대신 권한대행이다.

생애

월본 현대 정치의 아버지이자 자유민주당의 창립자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1939년 도유수도시에서 장남으로 출생하여 자라났다. 공무원인 아버지와 시인인 어머니를 두었고, 어머니의 영향으로 글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후 글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것을 바탕으로 진로를 기자로 정하였다. 1952년 도유민성소학교를 졸업하였고 1955년에는 현성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58년에는 현성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도유대학 신문방송학과에 입학하였고, 경제학을 함께 복수전공 한 뒤 1962년에 졸업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64년 군사정권이 막 시작되던 시기 WBS 공개채용 시험에 응시, 합격하게 되면서 정식 언론인으로서의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입사 후 WBS 와가사 정치경제부에 배속되어 기자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평범한 기자 생활을 하다 1967년 월본 국회에서 일어난 민주화 투쟁본부 강제 철거 파동에서 "국민 여러분, 현재 보고 계신 것은 현실입니다. 국민 여러분이 이 현실을 바꿔나갈 수 있습니다"라는 멘트를 하며 화제가 되었고, 이후 준수한 외모와 뛰어난 진행력을 바탕으로 유명세를 얻게 된다. 그 뒤 WBS 간판기자로 성장하게 되었고, 1973년에는 WBS 남부월본방송 지부장까지 초고속으로 올라 뉴스룸 진행 및 '오늘의 한마디' 코너 진행을 맡으며 재치있는 풍자와 진행력으로 월본을 대표하는 언론인이 된다.

그러나 군부는 그를 눈엣가시처럼 여겼고, 결국 1975년 모시 총리에 의해 강제로 내쫓기다시피 WBS에서 퇴직한다. 이후 그에 굴하지 않고 월본민주화협의회를 창설하며 정식으로 민주화운동에 뛰어들었고, 특히 와가사 지역의 항쟁을 주도하여 민주화운동의 거두로 떠올랐다. 그 뒤 1979년 수도항쟁이 일어나자 이에 동참하였고, 와가사로 항쟁을 진압하러 온 군경들을 설득하여 와가사 회군을 이끌어내 민주화에 큰 공을 세웠다.

민주화 이후 민주화 운동가 출신, 군부 온건파 출신, 관제야당 출신 비군부 보수 정치인들을 규합하여 자유민주당을 창당하였고 1980년부터 1986년까지 월본 총리로서 집권한다. 퇴임 이후에도 막후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1980년대 월본 정치의 지배자로 군림했으나 1990년대 초 대규모 정치 스캔들인 구창모 게이트로 큰 타격을 입고 한동안 영향력을 상실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다시 정계 전면에 복귀하며 자유민주당 2기를 이끌었다. 이후 정치적으로 완벽히 재기하며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다시 정치 일선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2023년 심근경색으로 인해 의식을 잃어 도유대학병원에 입원하였으나, 상황이 호전되지 않아 2024년 8월 21일 도유대학병원에서 서거하였다. 생전 남긴 유언장에서 "만약 내가 갑자기 죽어도 후미히라 총리와 동지들이 이 나라와 당을 잘 이끌어 줄 것이라 믿는다. 민의를 무엇보다도 우선시하고, 경제를 살려야 한다. 월본의 국민들은 가장 휼륭한 국민들이니 그 국민들에게 봉사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에 늘 감사하며 일해야 한다. 민의를 기억하라!"는 발언을 남겼다. 장례는 국장으로 치루어졌으며 후미히라 겐페이 당시 총리 등 국가 지도층이 조문하였다.

이후 도유 1구 보궐선거에서 손자인 구현우가 당선되어 지역구 세습이 이루어졌다.

성향

정치

1980년대 당시 여당이자 원내1당인 자유민주당의 당수로 지내며 월본의 정계에서 현재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월본민주화협의회 출신 민주화 운동가들을 규합해 보수본류를 형성하였고, 군부 온건파나 관제야당 출신의 보수방류와 당내에서 맞섰다. 1980년대에는 육성준, 모창민, 정문석, 이성하 등의 인사를 필두로 보수본류 내 구창모계가 월본 정계에서 형성되었고 구창모 총리 이후 모창민, 육성준이 총리를 역임하며 정계 내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평가

월본의 민주화와 1980년대 경제대국화를 이끌었다. 현대 월본의 국가 기틀을 잡고, 월본의 세계화와 발전에 큰 공을 세웠다는 평가가 많다.

2018년 11월 26일 "월본인에게 묻는다. 2018 월본!" 조사에서는 53.19%로 가장 위대한 월본 총리로 선정되었으며 24.04%의 득표율로 세이카 천황에 이어 월본 현대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 2위로 선정되었다. 월본에서도 최고 지지율 81.82%를 기록하는 등 많은 인기를 누렸던 총리였다. 그러나 1990년대 구창모 게이트를 겪으며 평가가 떨어졌으며, 여러번 구설수와 논란을 겪으며 비호감과 반대파 역시 크게 늘어났었다.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월본민주화협의회)
1975 - 1980 정계 입문
자유민주당 1980 - 2024 창당
사망

선거 이력

어록

여담

  • 야구에 관심이 많아 1990년대 구창모 게이트로 중앙 정계에서 한 발 물러났던 시절 WPB 리그 커미셔너직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 평균 관중수 2000만 돌파, 선수 최저연봉 인상, 국제 교류 확대 등 성과를 이뤄 내 야구 팬들에겐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 외국어 공부에 관심이 많았다. 영어와 표준 한국어는 중급 수준으로 구사가 가능했으며, 태국어는 기초적인 자기 소개 정도 가능했다. 스페인어는 독학하여 현지인과도 일상적인 대화를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월본-중남미우호친선의원단 대표를 역임하기도 했으며 멕시코, 코스타리카, 파나마,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여러 중남미 국가를 자주 방문했다.

둘러보기

각주

  1. 현재의 스페인·중남미학